Dagger
Dagger는 의존성 주입(DI)을 도와주는 프레임워크이다.
의존성 주입(DI)에 대해서 전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다. Dagger를 사용하여 의존성 주입을 자동화하도록 지원하여 코드 작성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전 포스팅에서 만들어 보았던 스마트폰 예시에 Dagger를 적용해 보려고 한다.
시작하기
build.gradle
프로젝트에 Dagger를 사용하려면 build.gradle
에 아래의 종속 항복을 추가해야 한다.
최신 버전의 Dagger는 Github 에서 확인 할 수 있다.
plugins {
.
.
id 'kotlin-kapt'
}
dependencies {
.
.
// Dagger2
implementation "com.google.dagger:dagger:2.41"
kapt "com.google.dagger:dagger-compiler:2.41"
}
@Inject
@Inject 를 사용하게 되면 Dagger가 해당 타입을 어떻게 생성하는지 알수 있게 한다. @Inject 는 필드
, 생성자
, 메서드
에 붙여 Component로 부터 의존성 객체를 주입 요청하는 어노테이션이다. 객체(인스턴스)의 생성이 클래스에 의존적이지 않고 Component가 생성해 주기 때문에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가 줄어들고 테스트하기 수월해 진다.
@Inject 로 의존성 주입을 요청하면 연결된 Component의 Module에서 의존 객체가 생성되어 반환된다.
각 Battery, MemoryCard, SIMCard, SmartPhone에 @Inject 어노테이션을 추가한다. -> 생성자를 통한 의존성 주입
class Battery @Inject constructor() {
init {
Log.i("TAG", "배터리 생성완료!")
}
}
class MemoryCard @Inject constructor(){
init {
Log.i("TAG", "메모리 카드 생성완료!")
}
}
class SIMCard @Inject constructor(){
init {
Log.i("TAG", "유심칩 생성완료!")
}
}
class SmartPhone @Inject constructor(val battery: Battery, val simCard: SIMCard, val memoryCard: MemoryCard) {
fun start() {
Log.i("TAG", "스마트폰 동작!")
}
}
@Component
@Component 는 Interface
또는 abstract class
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 컴파일 타임 에 접두어
Dagger
와Component 클래스 이름
이 합쳐진 Dagger클래스 자동생성
ex) SmartPhoneComponent -> DaggerSmartPhoneComponent
연결된 Module로 부터 의존성 객체를 생성하고, Inject로 요청받은 인스턴스에 생성한 객체를 주입한다.
Component Methods
@Component 어노테이션이 가지는 인터페이스 또는 abstract class는 하나 이상의 메소드 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메소드의 방식에는 Provision Method
와 Member-Injection
이 있다.
1. Provision Method
Provision Method의 경우 매개변수가 없고, Module이 제공하는 객체의 타입을 반환값으로 갖는다.
2. Member-Injection
의존성 주입을 시킬 객체를 파라미터로 넘기는 방식으로, 해당 객체의 클래스 내부
에서 @Inject가 붙은 필드에 객체
를 주입한다.
@Component
interface SmartPhoneComponent {
// Provision Method 방식
fun getSmartPhone(): SmartPhone
}
Component 객체 구현 - create() / build()
Dagger로 생성된 Component는 위에서 말한 형태로 Dagger + Component 클래스 이름
으로 자동 생성된다.
📍해당하는 클래스가 생성이 되지않았다면
- Rebuild Project 실행
- 1번을 수행해도 안된다면
dagger-complier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지 확인
Component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은 create(), build()
로 2가지 방법이 있다.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 val battery = Battery()
// val simCard = SIMCard()
// val memoryCard = MemoryCard()
// val smartPhone = SmartPhone(battery, simCard, memoryCard)
// smartPhone.start()
// 1. create() 방식
val smartPhone = DaggerSmartPhoneComponent.create()
.getSmartPhone()
// 2. build() 방식
val smartPhone = DaggerSmartPhoneComponent.builder()
.build()
.getSmartPhone()
smartPhone.start()
}
}
생성된 스마트폰 Component에 있는 smartPhone.start()를 통하여 실행을 하게되면 동작을 하는것을 볼 수 있다.
@DaggerGenerated
@SuppressWarnings({
"unchecked",
"rawtypes"
})
public final class DaggerSmartPhoneComponent implements SmartPhoneComponent {
private final DaggerSmartPhoneComponent smartPhoneComponent = this;
private DaggerSmartPhoneComponent() {
}
public static Builder builder() {
return new Builder();
}
public static SmartPhoneComponent create() {
return new Builder().build();
}
@Override
public SmartPhone getSmartPhone() {
return new SmartPhone(new Battery(), new SIMCard(), new MemoryCard());
}
public static final class Builder {
private Builder() {
}
public SmartPhoneComponent build() {
return new DaggerSmartPhoneComponent();
}
}
}
자동으로 생성된 DaggerSmartPhoneComponent
클래스에서 getSmartPhone()
을 상속받아 자동으로 객체들을 주입해준것을 볼 수 있다.
Third Party Library는??
여기서 외부에 존재하는 Third Party Library
라면 함수의 내부를 볼 수 없기 때문에 @Inject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어 Retrofit client의 경우 Third party Library 이기 때문에 생성자를 통한 의존성 주입이 불가능하다.
// Retrofit
class Retrofit @Inject constructor()??{
}
이러한 해당 객체를 의존성 주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Module 과 provider function 을 사용하여 주입해야한다.
@Module / @Provides
Dagger에서 의존성 관계를 설정하는 클래스를 Module 이라고 부르고 @Module 어노테이션을 붙여준다. 즉 Dagger에서 Module은 의존성 주입에 필요한 객체들을 관리해준다.
@Provide 어노테이션은 @Module클래스에서 선언된 메소드들에만 붙임으로서 Dagger가 메소드에서 해당 타입의 객체를 반환해 준다는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Module 클래스는 클래스 이름 + Module
으로 생성하고, Provide 메소드는 provide + 메소드 이름
으로 만드는것이 일반적인 컨벤션이다.
위의 예시에서 MemoryCard가 Third Party Library라고 생각하고 Module을 생성해 보면 아래와 같다.
// third party 라이브러리하고 생각
class MemoryCard {
init {
Log.i("TAG", "메모리 카드 생성완료!")
}
}
// Module 클래스 생성
@Module
class MemoryCardModule {
@Provides
fun provideMemoryCard(): MemoryCard {
return MemoryCard()
}
}
Component가 생성된 Module을 알 수 있게 하기위해선 @Component에 아래와 같이 추가해 주면 된다.
@Component(modules = [MemoryCardModule::class])
interface SmartPhoneComponent {
// Provision Method 방식
fun getSmartPhone(): SmartPhone
}
Field Injection
위의 Inject, Module, Component를 사용하여 의존성 주입을 해보았다. 실제로 의존성 주입을 사용하게되면 SmartPhone과 같은 Component 이외에 다은 의존성 객체가 많이 존재 할 수 있다. 이러한 Component들을 MainActivity에서 의존성 주입을 할때마다 생성해주어야 한다면 getSmartPhone()과 같은 getter 메소드들이 불필요하게 많이 추가가 될것이다.
Component에서 Method-Injection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할 Activity / Fragment를 지정해 주고 사용할 View에서 Field Injection을 사용하면 불필요한 코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Component
interface SmartPhoneComponent {
// Provision Method 방식
// fun getSmartPhone(): SmartPhone
// Method-Injection 방식
fun inject(mainActivity: MainActivity)
}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 Field Injection
@Inject
lateinit var smartPhone: SmartPhone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 1. create() 방식
// val smartPhone = DaggerSmartPhoneComponent.create()
// .getSmartPhone()
DaggerSmartPhoneComponent.create()
.inject(this)
smartPhone.star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