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ril 20, 2022
Scope Function 코틀린에서는 기본적으로 "표준 스코프 함수" 라는것을 제공한다. 스코프 함수들을 사용하여 기존의 복잡한 코드를 단순화하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스코프 함수를 람다식으로 사용을 하게되면 일시적인 Scope(범위)가 형성 되고, 이 범위 안에서는 객체에 대해서 일일이 참조하지 않고 객체에 대한 접근 을 하여 사용할 수 있다. …
May 10, 2022
최근에 알고리즘의 풀이를 에서 로 바꾸며 진행해 나가면서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서 많이 사용되는 정렬을 하는 방법 에 대해서 알아가보려고 한다. 리스트 기본 정렬 코틀린에서 리스트의 정렬은 다음과 같이 크게 , , 의 세가지 방법이 있다. 코틀린에서는 Immutable 과 Mutable 로 나뉜다. 여기서 Immutable(데이터의 변경이 불가능)에서는 함…
June 25, 2022
안드로이드와 코틀린을 공부 하면서 , 키워드를 많이 봤지만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하였던 개념에 대해서 차근차근 알아가보려고 한다 😅 제네릭(Generic)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Int, Char, String등 기본(Primitive) 데이터 타입을 지원한다. 제네릭 은 타입을 확실히 정하지 않고 동일한 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유용한 기능이…
July 16, 2022
은 반응형 프로그래밍으로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구현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이 되어 한번 학습을 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Coroutine을 학습하는 도중 ReacticeX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비동기 스트림 를 제공하고 있어 ReactiveX 이전에 먼저 Flow에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Flow란 코루틴에서 Flow(흐름)은 단일…
March 07, 2024
서버에서 REST API를 구현하여 데이터를 다룰때는 Json 데이터 형태로 많이 다루게 된다. 안드로이드에서 서버의 데이터를 받아올때 편리하게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객체-Json 간의 Converter 작업을 하였었다. 이번에 구글 프로젝트를 보면서 새로운 직렬화/역직렬화를 다룰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보려고 한다. Kotlin의 Default Valu…
December 04, 2024
안드로이드에서는 Rest Api 통신을 편리하게 해주는 , 라이브러리를 사용을 현재까지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최근 Kotlin Multiplatform을 사용하게 되면서 Retrofit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말로만 듣던 Ktor를 살펴보고자 한다. Ktor? Ktor는 Kotlin으로만 작성된 경량 웹 프레임워크이다. 따라서 플랫폼에 종속적이지 …